- 등록일 2008-10-27
- 담당부서
- 조회수95
부실건설사 내달부터 구조조정 충청권 하청업체 연쇄도산 공포
정부·금융권, 분류작업 금명간 완료…D등급 정리
정부와 금융권이 수만개의 국내 건설사를 신용에 따라 A~D등급으로 분류하고 11월부터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하면서 충청권 하청업체 연쇄도산 및 아파트 입주 예정자들의 재산권 피해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청주와 청원, 충남 공주 등 곳곳에서 건설업체 부도 및 자금난에 따른 공사중단 등이 잇따르고 있는 상황에서 A~D등급 분류결과가 드러날 경우 충청권은 '패닉상태'에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지역 금융권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10·21 대책'에 따라 현재 국내 수만개 건설업체의 신용을 A~D등급으로 나눠 평가한 결과가 완료되는 11월부터 본격적인 건설업 구조조정이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평가에서 A·B등급을 받은 중소건설사는 채권은행이 내년 6월까지 대출금 만기연장과 이자감면, 신규 자금지원 등의 조치를 받게 된다.
또 C등급은 워크아웃, 기업구조조정 촉진법, 통합도산법 상 회생절차 등을 적용해 대출금 만기연장과 이자감면, 출자전환 등의 지원과 함께 인수·합병, 감자(減資) 등 구조조정을 병행할 예정이다.
반면, D등급으로 분류될 경우 통합도산법 상 파산절차에 따라 곧바로 회사정리 절차에 착수하게 된다.
이런 가운데 국토해양부가 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0위 권 건설사 중 27곳이 부실징후·유동성 위기에 빠졌다고 청와대에 보고했다는 설이 나돌면서 건설업계 분위기가 흉흉해지고 있다.
1군 건설사까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이라면 100위 권 이하 충청권 건설업체 대부분이 '저평가'에 따른 퇴출대상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건설사 구조조정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전국에서 충청권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우려된다.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 시책으로 지난 2004년 이후 충청권에 공급된 아파트가 전국 최대인 데다 미분양 폭증 등으로 건설사 자금난을 초래한 결정적인 요인을 제공했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는 '행정·혁신·기업도시 등의 영향으로 충청권에 대형 건설사 사업장이 수두룩한 상황에서 일부 현장 시공사가 C·D등급을 받아 회사정리 절차에 돌입할 경우 아수라장으로 변할 공산이 크다'며 '특히 대단위 아파트 사업장 뿐만 아니라 대규모 민자 산업단지까지 어려움을 겪게 되면 자치단체에도 엄청난 피해를 안겨주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국내 '톱10 건설업체'조차 PF(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이 중단된 상황에서 거의 모든 건설업체가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며 '정부의 이번 조치는 일부의 희생을 통해 '공멸'을 막겠다는 조치로 보아야 한다'고 밝혔다.
/김동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