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11-14
- 담당부서
- 조회수102
청주 재개발 '올스톱' 우려
시공사 구하기 어려워 38곳중 18곳 추진 못해
국내 '톱 10' 건설업체에 대한 금융권 대출마저 중단되는 등 극심한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청주지역 38곳의 도시정비사업과 4~5개의 민간개발 등이 전면 중단될 우려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이후 국내 건설업체가 수도권을 제외한 13개 비수도권에서 시공참여를 기피하는 현상이 뚜렷해지면서 시공업체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보다 어려운 상황을 맞는 등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충북도와 청주시 등에 따르면 현재 청주지역에서 추진중인 도시정비사업은 모두 38곳 287만 113㎡로 현재까지 조합설립인가를 신청한 곳은 4곳에 불과하고 주민설명회를 거친 곳도 6곳에 그치는 등 극도로 저조한 사업실적을 보이고 있다.
또 사업이 최초 단계로 꼽히는 추진위원회 승인도 20곳에 그치고 있으며, 18곳은 아예 추진위원회 신청조차 이뤄지지 않는 등 언제 사업이 진행될 수 있을 지 미지수다.
이와함께 민간 도시개발사업으로 추진중인 청주 용정지구와 문화동 등 4~5개 사업장도 시공업체가 법정관리를 신청하거나 아예 시공업체를 구하지 못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는 등 사업일정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다.
이처럼 청주지역 도시정비사업과 민간 도시개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는 것은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데다 금융권의 건설관련 대출이 시공능력평가액 상위 10위 권 업체까지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13개 비수도권에서 사상 유래없는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착공 후 분양에 돌입해도 곧바로 미분양에 따른 금융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는 것도 주 요인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지방 건설·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도심공동화 해소를 위한 재정비 사업 및 도시개발 사업이 전면 중단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공개발에 비해 비싼 땅값을 지불하고 구역지정을 받은 상황에서 높은 분양가를 책정할 수 밖에 없어 미분양 폭증이 불보듯 뻔한 상황이기 때문에 국내 대부분의 건설업체가 시공참여를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청주 A사업장의 한 관계자는 '지금은 무조건 사업일정을 늦추는 방법밖에 없다'며 '만약 최근의 건설경기 침체가 내년 하반기까지 이어질 경우 사업을 계속하겠다고 나서는 자체가 문제가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청주시 도시정비과 관계자는 '청주지역 38곳 도시정비 사업의 경우 아직 행정절차가 진행중인 상황에서 향후 전망을 내놓기 어렵다'며 '하지만, 정부가 지방 부동산 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놓지 못할 경우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사업장을 중심으로 '사업포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김동민기자
기사입력시간 : 2008-11-13 20:23:49 (지면게제일:2008-11-14) / 김동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