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11-14
- 담당부서
- 조회수98
건설업계 '살릴기업 과감한 지원 필요'
건설단체총聯, 경제현안 타개 간담회 개최
2008년 11월 13일 (목) 충청타임즈 webmaster@cctimes.kr
건설업계가 '살릴 기업에 대해서는 만기연장 및 차환발행 등을 통한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대승적 차원에서 금융권의 양보가 필요하다는 점을 호소했다.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는 13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경제현안 타개를 위한 경제단체장·금융기관장 간담회'에서 건설업계에 대한 유동성 지원과 관련한 건의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건설업계는 우선 현 상황과 관련해 정부가 지난 10월 초부터 연이은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있음에도 금융권의 비협조와 시장의 불신으로 정책효과가 미미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금융권에서는 건전성 하락 우려에 따라 만기연장 거절, 신규대출 제한, 대출금 조기 회수 등 무분별하게 대출을 통제하고 있고, 이로 인해 건설업계는 미분양 적체로 자금이 말라버린 상황에서 신규대출마저 불가능해짐에 따라 고사직전의 상황에 이르러 우량 건설업체마저 흑자도산 위기에 봉착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IMF금융위기를 한차례 겪은 경험으로 인해 다음달 말 결산을 앞두고 은행권이 BIS자기자본비율을 10%대로 맞추는 데 필사적인 점은 이해한다'면서도 '기업과 가계의 돈줄이 말라버리면 파산과 부도로 이어져 결국 은행권 부실로 귀결될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융권에 ''단기적 건전성 관리'와 '시중 유동성 공급'이라는 양 축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면서 '현재 PF대출 및 ABCP 등 금융시장에서 자금이 선순환될 수 있도록 살릴 기업에 대해서는 만기연장 및 차환발행 등을 통한 과감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현재 건설사들이 흑자도산의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은 PF대출시 시공사인 건설사들이 지급보증 등 채무에 대한 리스크를 떠안을 수밖에 없는 불합리한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라며 건설사가 부도 위험에 처하면 다른 PF사업 및 하도급, 자재업체 등의 연쇄도산으로 이어져 금융권이 부담을 떠안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브리지론 보증 규모 확대 등의 실효성 확보에 대해서도 건설업계는 ''공사계약체결에서 공사대금결제기간'사이의 유동성을 지원하는 '브리지론 보증'의 1사당 보증한도를 확대해야 한다'면서 '신용보증기금의 연간 총 보증한도는 현재의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해 전체 보증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