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11-20
- 담당부서
- 조회수98
건설업계 구조조정 '올 것이 왔다'
C등급 중견건설사도 '좌불안석'… 지역협력업체 피해 우려
이민우 기자 minu@jbnews.com
대형 중견 건설업계를 비롯해 지역 건설업계가 퇴출 등 구조조정의 소용돌이속으로 빨려들고 있다.
은행권이 대주단 가입을 하지 않으면 지원을 해주지 않겠다며 건설사들을 옭죄고 있는데다, 구조조정 관련 흉흉한 소문들이 나돌고 있어 건설사들은 말 그대로 좌불안석이다.
특히 은행들이 오는 23일까지 각 건설사를 돌며 대주단 가입과 지원방안, 구조조정 방향 등에 대한 사전설명회를 갖기로 함에 따라 일부 건설사는 여기에 포함되지 못할까 노심초사하고 있으며, 퇴출여파는 하도급업체인 지역 협력업체까지 그 여파가 미칠 것으로 보인다.
◆퇴출 여파 지역 협력업체까지 노심초사= 국토해양부와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은행연합회가 대주단 자율 협약 신청 기한을 23일로 연장했다며 그 전에 주채권은행은 해당건설사를 방문, 사전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국토부는 채권단이 경영권까지 간섭하진 않겠지만 대출연장을 조건으로 인원 감축, 자산 매각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제안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오는 24일 이후에는 퇴출 건설사 분류작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회생여부를 은행 손에 내맡긴 건설업체들은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분위기다. 더구나 대주단 가입이 이뤄지더라도 한계기업 일부가 퇴출될 것이라는 의견이 팽배해지면서 건설사들의 공포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당초 대주단에 가입하면 모두 살려줄 것이라는 정부도 태도를 바꾸고 있어 건설업계 구조조정이 가시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중견건설사 한 관계자는 '일단 대주단가입 신청은 할 예정이지만, 향후 생사는 은행권에 달려 있다'며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혹여 받아들여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당초 건설업계 구조조정에 대한 계획을 세울 당시와 현재 상황을 다르게 판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은 100위 건설사 중 27개 건설사를 C등급으로 분류, 어떤 방식으로든 모두 회생가능으로 판단했으나 현재는 이들 C등급 가운데서도 몇개 회사는 지원을 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의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퇴출기업 뿐 아니라 대주단에 가입하는 A, B, C등급 건설사들도 은행들이 1년간 대출을 연장하거나 추가대출을 해준다 하더라도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할 방침이기 때문이다.
◆부도공포…다음 건설사는= 시공능력 순위 41위(총자산 6천억원)인 신성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함에 따라 건설업계는 '올 것이 왔다'며 공포 분위기에 휩싸이고 있다. 이에 건설업계는 금융권의 건설 A, B, C, D등급 분류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자구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당장 금융권에서는 신성건설을 포함한 7개 건설사가 C등급으로 분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C등급으로 분류된 건설업체는 조만간 워크아웃 절차에 돌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건설업계 위기의 근원지는 미분양으로, 현재 약 30조원가량이 미분양에 묶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대내외적인 경기침체 등으로 미분양 문제가 쉽게 해결될 조짐이 보이지 않는 데다 PF 만기 연장 등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건설업체들의 유동성 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더욱이 신성건설을 비롯한 7개 업체가 C등급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나머지 6개 업체도 조만간 워크아웃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지역 건설업계 관계자는 '금융권에서 비정상적으로 대출 만기연장 등을 꺼리면서 중견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그 여파는 지역 협력업체까지 미쳐 피해가 우려된다'고 토로했다. / 이민우
minu@jb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