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11-20
- 담당부서
- 조회수97
대주단 미가입 부실업체, 주거래 은행 지원 끊긴다
[2008-11-20]
대주단에 가입하지 않은 부실건설사에 대한 주거래은행 등의 개별적 지원이 끊길 전망이다.
부실건설사 구조조정이 건설산업을 뛰어넘어 금융, 실물경기의 생사를 좌우할 현안이라는 게 정부 내부의 시각이기 때문이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 14일 대주단의 요청으로 대한건설협회, 한국주택협회 등 건설업 단체별로 공문을 보내고 시공능력 상위 100대 건설사의 대주단 협약 가입을 독려하고 있다.
당초 17일로 예정된 가입시한을 23일로 연장, 배수진을 쳤지만 건설사들의 가입기피에 금융건설사 간 협약사항에 정부가 개입한다는 비판여론이 가세하면서 2010년 2월까지 상시가입을 허용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반면 금융권과 정부 내부 분위기는 부실건설사의 대주단 가입을 사실상 강제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건설사들의 부실 정도가 외부에 드러난 것 이상으로 심각한 상태에서 가입이 지연되면 부도 도미노로 이어져 금융, 실물경기마저 위협받기 때문이다.
대주단 쪽 한 관계자는 “주거래은행의 채권만기 연장 등 지원책이 지금 끊긴다면 5대 메이저건설사는 내년 상반기, 다른 건설사는 연말, 내년 초를 넘기기 어렵다는 게 정부와 금융권의 공통된 시각”이라며 “정부로선 이를 막아야 하고 어떤 개입을 통해서든 대주단 가입을 사실상 강제하는 쪽으로 몰고 갈 수밖에 없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최근 메이저건설사 중심의 해외건설 수주 활황도 수익성이 낮은 데다 매출이 아니라 낮은 이익금만 유입되므로 고려사항이 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금융당국이 개입수위를 높이면 주거래은행의 개별적 채권만기 연장중단 등 방법은 얼마든지 있고 금융계도 이에 반대할 이유가 없는 상황이다.
주거래은행의 지원이 끊기면 부동산에 막대한 PF자금이 잠긴 2금융권 차입도 어려워 부도 외엔 출구가 없을 것으로 이 관계자는 내다봤다.
사실상 재정상태가 양호하거나 모기업 물량 확보가 가능한 그룹계열 일부 건설사를 제외하면 대주단 가입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 관계자는 “대주단 가입신청을 했다가 거부되면 주거래은행 외엔 기밀이 유지된다”며 “경영권 간섭은 없다는 게 원칙이지만 일각에서는 경영권 간섭 운운 자체가 아직 현실인식이 결여됐다는 비판도 있다”고 전했다.
최근 언론매체를 통해 노출된 100위권 건설사 중 7곳의 C등급 분류설은 금융권 분석과 비슷하지만 30위권 업체 2곳 포함설은 비약이며 이미 부도난 곳이 아니라면 구제하는 쪽으로 움직일 것이라는 전언이다.
금융권의 이런 인식을 입증하듯이 정부도 건설사의 대주단 가입을 강력히 독려하고 있다.
국토해양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대주단 협약에 가입하지 않는 업체에 대한 별도 지원대책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게 정부 방침”이라며 “10개 내외의 건설사를 제외한 대부분 건설사들이 가입할 것으로 본다”고 낙관했다.
여의치 않을 경우 정부 차원의 압박카드를 쓸 수 있다는 자신감이 깔린 발언이다.
국토부 실무 관계자는 이와 관련, “건설업계가 빠른 시일 내 대주단에 가입토록 일단 독려하되 자율협약 특성상 미가입 업체에 대한 대응은 국토부가 아니라 다른 쪽에서 맡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국진기자 jinny@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