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02-04
- 담당부서
- 조회수98
4대강 프로젝트 '속도전' 우려
하반기 예정 앞당겨 대부분 오는 6월 착공
장마철 겹치고 사업비·자재조달 곤란 예상
일괄입찰(턴키) 방식 도입으로 지역 중·소 건설업체 참여가 희박해진 정부의 4대강 프로젝트가 '속도전'에 매달리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착공시기 및 사업비·자재조달 문제까지 논란이 확산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당초 올 하반기 착공으로 예정됐던 4대강 선도사업 7개지구가 이달부터 오는 6월까지 집중적으로 착공되면서 장마와 폭우를 반영한 견실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팽배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의 정부의 '4대강 선도사업 7개지구 현황'에 따르면 △한강-충주 환경정비 △낙동강-대구 하도·하천환경 정비, 안동 하천환경정비, 부산 하천환경정비 등 8곳 △금강-행복도시 제방보강·하천환경정비 △영산강-나주 하천환경정비 등 6곳 등 모두 7개지구 17개 사업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 하천환경정비사업이 이미 공사중에 있고 안동 하천환경정비 사업도 착공된 상태며 충주, 부산 등에서 2월 중 착공이 이뤄질 전망이다.
하지만, 대구 2개 사업과 부산 3개사업, 행복도시 2개사업 등 5개지구 8개 사업이 오는 6월 중 착공될 것으로 계획되면서 지역 건설업계 사이에서 '착공시기 논란'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 하천정비 사업의 경우 하반기 발주 후 동절기 공사중단 기간인 겨울철 토목공사와 장마철 이전 제방공사 등으로 이어진 반면, 이번에는 장마철이 시작되는 6월 중 착공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욱이 설계·시공·감리가 동시에 진행되는 턴키공사는 올 여름 수해가 발생가 발생해 선형이 변경될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운 구조를 안고 있어 이래저래 논란을 증폭시키고 있다.
여기에 정부가 각급 자치단체에 재정 조기집행을 위해 건설공사 조기발주를 독려하면서도 중앙정부 보조금 집행을 늑장처리하면서 지방비 전용사례가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4대강 프로젝트 역시 사업비 조달에 심각한 문제점이 우려된다.
한꺼번에 착공된 4대강 프로젝트에 투입되는 친환경 블록 등 주요 자재 조달에도 이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정부의 '속도전'이 오히려 지방 건설시장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지역 중견 건설사인 A사 대표는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해 매진하고 있는 4대강 사업의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는 데다 착공시기도 당초 계획대로 하반기인 오는 9~10월께로 재조정해야 한다'며 '지나치게 속도전에 매달리다가는 100년을 내다보는 치수사업이 아닌 근시안적 행정의 표본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동민기자
기사입력시간 : 2009-02-03 19:22:08 (지면게제일:2009-02-04) / 김동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