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03-19
- 담당부서
- 조회수99
지역업체 수주기회 소폭 확대
정부 ‘4대강’ 참여비중 50% 가닥 등 물량 다소 늘듯
이경호 기자 twojune7401@ccdn.co.kr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 추진으로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효과가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 건설업체의 사업참여 기회가 대폭 확대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5월 수립하고 6월부터 발주를 본격 추진해 2011년에 완료(댐 및 저수지 등은 2012년)하겠다는 일정을 정하고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기회 확대를 위해 입찰시 가산점 부여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중이지만 지역제한 등 현실적 대책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권오현 연구위원은 18일 4대강 프로젝트에 총 13조9천억원 규모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금강·한강 수계가 포함된 충청지역에는 전체 예산의 5분의1에 해당하는 약 3조원이 투입되며 대부분 예산은 2010~2012년에 집중 투입될 것이라고 밝혔다.
권 위원은 또 충청지역에 투입되는 건설시공 부문 투자비(2조4천억원)는 충청권에 3조3천억원의 직·간접생산을 유발하고 충청권 건설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2조4천억원에 이르는 등 충청권에 미치는 효과의 비중이 70.5%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충청지역 수계 건설시공부문 투자비는 건설부문에 2만7천여명 등 충청권에 3만4천명의 직·간접 취업을 유발해 전국적으로 미치는 총 취업유발효과 4만4천명중 충청권이 62.2%로 가장 높아 충청권의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에 막대한 기여를 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지난해 첫 발주된 남한강 정비사업의 경우 설계와 시공을 함께 하는 턴키방식으로 발주돼 지역업체의 참여 기회가 제한되는 등 4대강 살리기 관련 공사물량이 없는 지역 건설업체는 울상을 짓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지역업계의 반발과 자치단체의 요구에 따라 정부가 4대강 살리기사업의 상당수 공사물량을 턴키방식이 아닌 등급별·분할발주 방식으로 채택하고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지역업체 참여비중을 50% 정도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있어 그나마 지역 건설업체의 수주 물량이 소폭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권 위원은 “4대강 사업 발주를 놓고 대형 건설사와 중소 건설사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지역업체의 참여기회를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방침은 확고하다”며 “그러나 지나치게 지역업체 우대 방침을 세우면 오히려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비판도 있고 지역업체의 배타적 행태로 인해 소탐대실할 우려도 있는 만큼 오는 6월께면 정부가 합리적인 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입력 : 2009년 03월 18일 20:5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