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9-05-19
  • 담당부서
  • 조회수92
지역 레미콘업계 '벙어리 냉가슴'
시멘트 골재가격 인상불구 납품가는 그대로

2009년 05월 18일 (월) 남경훈 기자 namkh@ccilbo.com


경영여건 악화일로 …단가 연동제 도입 시급

정부의 예산조기집행에 따른 공공건설공사 조기발주로 건설자재업체들의 물량도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도내 레미콘업계는 오히려 한숨을 내쉬고 있다.

특히 레미콘의 주 원료가 되는 시멘트와 골재 등을 비롯한 각종 자재가격은 크게 오르고 있는데 반해 납품가에 대한 인상분 반영은 거북이걸음이거나 그나마도 아예 외면받고 있어 샌드위치 신세가 되고 있다.

충북남레미콘조합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배정된 레미콘 관급물량은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무려 80%나 급증한 100만㎥(루베)이며 지난 한 해 동안의 물량 180만㎥의 55%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물량은 급증했지만 자재가격이 납품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서 레미콘업계의 속앓이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데다 과당 경쟁으로 인한 출혈 납품도 업체들의 생존을 위협케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주요 자재인 시멘트 가격은 지난 3월 톤당 8500원이 인상되면서 6만7500원으로 급등했다. 이에 따라 레미콘을 생산할 때 ㎥당 3000~3500원 정도의 단가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 골재가격도 지난해 말부터 최근까지 ㎥당 2000~3000원 정도가 오른 데다 최근에는 일주일여 납품을 중단하는 등 추가 인상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관급물량의 경우 최근 시멘트 인상으로 인한 단가 인상요인의 절반 정도가 최근 반영된 데 그치고 있으며 일반 건설업체들의 납품가도 이에 대한 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대규모 공사를 수행하는 대형 건설업체들은 이 같은 인상요인 반영을 아예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상승을 지속하고 있는 각종 자재가격의 인상분이 납품가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서 도내 레미콘업계의 어려운 상황을 더욱 부추기고 있어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 등 제도강구가 시급하다.

충북지역 A레미콘사의 한 관계자는 '각종 인상요인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서 레미콘업계는 자재업계와 납품업계 사이 샌드위치 신세로 경영여건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며 '특히 대기업은 자기들은 원가부담을 제품 단가에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레미콘 납품가격의 현실화는 외면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 대형건설업체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예산절감을 위해 각 기관들이 공사비를 삭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레미콘 가격인상은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