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05-28
- 담당부서
- 조회수93
건설현장 일단 멈춤?
건설노조 전면 파업 … 충북서도 550여명 참가
공사중단 아직 없어…장기화땐 지역경기 악재
2009년 05월 28일 (목) 지면보기 | 3면 김현진 기자 lionel@cctoday.co.kr
전국 건설노조가 27일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충북지역 공사현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이번 건설노조 총파업에 덤프, 레미콘, 타워크레인 등이 동참해 파업이 장기화로 갈 경우 중장비 사용이 많은 아파트 공사 등 대형 공사 현장의 공정 차질이 우려된다.
충북도와 충북경찰청 등에 따르면 이날 2만여 명이 참가한 과천 정부청사앞 '건설노동자 총파업 투쟁 승리 결의대회'에 충북에서는 민주노총 건설기계노조 산하 덤프연대를 비롯한 타워크레인, 굴착기 등 550여 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계됐다.
이날 총파업 집회에 건설현장 노동자뿐만 아니라 덤프, 레미콘, 타워크레인 등이 참여한 것은 건설기계 공급과잉으로 생계에 위협을 받고 있다는 주장을 시위로 나타낸 것이다.
건설노조는 이날 덤프트럭, 굴착기 등 건설기계의 수급 조절, 건설현장 부조리 제거, 덤프트레일러 유가보조금 지급 중단 등 7대 요구사항을 관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경기악화로 건설 일자리는 급격히 줄어들고 있지만 실업수당조차 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절박한 상황이 더해졌다.
이에 따라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건설뿐만 아니라 지역경기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충북지역의 경우 청원, 단양 등에 레미콘 생산공장이 집중돼 있으며, 4대강 시범사업, 청주를 중심으로 한 대형 아파트 공사 현장 등이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와관련 “전국 이슈로 인한 파업 참여로 아직까지 지역 건설현장에서 공사가 중단됐다는 보고는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덤프연대 등 충북지역 파업 참가자들은 “이번 총파업은 건설경기가 극도로 어려운데도 과잉 공급상태인 덤프트럭 등 건설기계의 수급 조절, 만성실업에 허덕이는 타워크레인 인력의 조절, 유가보조금을 받는 트레일러의 공사현장 출입 불허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서 “먹고 살기 위한 생계형 파업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의대회와 국토해양부 교섭 추이에 따라 파업의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점쳐진다.
건설노조 관계자도 '건설기계가 과포화돼 쉬는 기계가 늘면서 노동자의 생활이 극도로 어려워지고 있다'며 '국토부는 수급을 조절할 수 있는 법을 만들고 수급조절위원회까지 구성했지만, 시장논리에 반하지 않는다는 국정기조를 들어 법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총파업이 조기에 끝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국토해양부는 총파업 속에서도 건설노조와 교섭창구를 유지하고 있으며, 7대 요구사항 중 덤프트럭, 콘크리트믹서트럭 등 일부 건설 중장비에 대한 시범적 수급 조절에 의견이 모았다고 밝혔다.
김현진 기자 lionel@cc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