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9-06-10
  • 담당부서
  • 조회수86
충북 건설사 숨통 트이나
'4대강 살리기' 지역업체 참여 40%로 확대


이민우 기자 minu@jbnews.com



정부의 4대강살리기 사업의 마스터플랜이 발표되자 충북도내 건설업계가 적극 환영하는 분위기다. 정부가 발표한 4대강 사업은 22조원이라는 재정이 투입되는 관급공사인 만큼 건설경기 회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협회 '4대강 사업은 녹색뉴딜사업으로 실물경제 회복에 기여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 것'이라고 논평했다.

◆ 지역 경제활성화 청신호(?) 충북 업계 환영= 정부는 이 사업으로 물 부족 및 홍수피해 방지, 수생태계 조성, 삶의 질 향상뿐 아니라 녹색뉴딜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어 낸다는 복안이다. 특히 일자리 34만개, 생산유발 효과 약 40조원을 창출해 실물경기 회복에 기여한다는 것이 국토해양부의 분석이다.

충북 도내 건설업계는 무엇보다 4대강 사업과 관련한 모든 공사에 금액과 상관없이 지역의무공동도급제가 적용되는 것에 고무돼 있다.

해당 시·도에 소재한 업체를 일정비율 이상 참여시켜 공동수급체(컨소시엄)를 구성할 경우에만 입찰 자격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지역업체의 위상 강화로 이어지게 된다.

이번 사업에서 일반공사는 모든 공사에 지역업체 참여비율을 30%에서 40%로 확대했다. 턴키공사의 경우도 최소 20%는 지역업체 몫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에 따라 4대강 마스터플랜 발표와 동시에 대형 건설사들은 곧바로 4대강 사업 선점을 위한 합종연횡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때 지역에서 실적을 보유한 중견업체 모시기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4대강 사업 자체가 경기 부양을 위해 기존에 없던 물량을 만들어낸 것이므로 지역사 우대는 정부의 확고한 방침'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 이태호 기획시장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지역의무공동도급제를 확대함으로써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건설업계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이라며 '본래 취지에 맞게 지역건설업체에 일감이 돌아갈 수 있도록 담당기관에서는 관리 감독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일반 공사 해당 지자체 위임… 설계 차별화도 관건= 4대강 사업의 일반공사 물량은 총 68개 공구로 구성됐고 1차는 6월 설계, 11월 착공하고 2차 물량은 11월 설계, 내년 3월 착공된다.

국토부는 4대강 공사 발주 때 지역의무공동도급(턴키 20%, 기타 40%)은 물론 지역업체 가점을 적용하고 설계점수 비중을 높여 디자인이 우수한 설계서를 우대할 방침이다.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의 김희국 부본부장은 '4대강 보의 디자인을 개별적으로 차별화하기 위해 턴키심사 때 설계배점을 대폭 상향조정할 것'이라며 '일반공사는 각 지자체에 위임하되 당초 밝혔듯이 기계시공이 아닌 인력시공 비율이 높은 업체를 입찰 때 우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4대강 턴키심사 때는 건설선진화방안에 포함된 평가위원 및 평가결과 공개 등의 혁신안도 적용한다.

국토부 박상우 건설정책관은 '턴키상설심의기구 출범은 내년이지만 그 이전에 국토부 산하·소속기관 중심의 턴키 개선을 우선 적용해 지방국토청, 수공 등의 4대강 턴키설계 심의 때 직원 중심 평가, 심의결과 공개 등을 우선 적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이민우


입력 : 2009년 06월 09일 20:1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