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06-17
- 담당부서
- 조회수89
'4대江 사업' 충북 건설업체 외면
금강유역 11개 공구 중 대청·미호천 참여
2009년 06월 16일 (화) 남경훈 기자 namkh@ccilbo.com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추진하면서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를 내세웠으나, 정작 지역 건설업체의 공사 참여 기회를 박탈하는 등 '속빈강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충북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발표한 4대강 살리기 금강유역 11개 공구 가운데 충북지역 건설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사는 대청지구 8공구와 미호천 10공구 단 두 군데뿐이다.
더욱이 이들 두 공구의 사업비는 1047억원으로 금강유역 전체 공사비 9965억원 가운데 겨우 10.5%에 불과한 실정이다.
여기에 대전과 전북지역 건설업체에 5.8%를 할당해 구색을 맞추고 나머지 84%는 충남지역 건설업체들이 독식하도록 발주됐다.
이는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참여업체 기준을 공사현장 행정구역에 속해 있는 건설업체로 처음부터 못을 박았기 때문이다.
특히, 금강 5공구와 6공구 등 사업비가 1000억원이 넘는 4개 공구는 턴키방식으로 발주하면서, 충북지역 건설업체들은 공동도급 기회마저 박탈당했다.
이에 대해 충북지역 건설업체들은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큰 기대를 걸었으나, 결국 정부에 또한번 속고 말았다며 분을 삭이지 못하고 있다.
또 충북 건설업체들이 이처럼 홀대를 받고 있지만 충북도와 지역 정치권은 공사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충북지역 A건설사의 이모 대표는 '지금이라도 정부가 법개정을 통해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하는 대규모 턴키공사만이라도 대전, 충남·북 업체들이 모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해 줄 것을 희망하고 있다'며 '정부가 내세운 장밋빛 4대강 살리기 사업이 특정 지역을 위한 또다른 차별정책이라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정부의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충북도의 한 관계자는 '금강은 대청댐 하류 관리지역이 14에 불과해 충남권이 공사가 많을 수밖에 없다'며 '수자원공사 하천환경정비사업과 저수지 확장사업 등도 4대강사업에 포함돼 있어 금강 본류만 놓고 비교하는 것은 다소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