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07-29
- 담당부서
- 조회수87
[사설]첨복단지 ‘충청권 연대’ 왜 못하나
2009년 07월 29일 (수) 지면보기 | 21면 충청투데이 cctoday@cctoday.co.kr
첨단의료복합단지 유치를 위한 충청권 연대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접근해 볼만한 문제라고 본다.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충청권으로 유치해 전후방 연관효과를 극대화시키자면 견고한 공조라인 구축은 필수적이다. 일찍이 부산·울산·경남이 상호 보완의 연합전선을 구축한 데 이어 영·호남도 상호 협력모델을 마련한 이유가 여기 있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되고 있는 국책사업을 공동유치, 실리를 챙기겠다는 계산법이다.
게임의 법칙에는 이렇듯 정도가 없다. 국책사업 유치 목표를 관철시키기 위해서라면 '적(敵)과의 동침'도 불사한다. 대구와 광주의 빅딜카드가 대표적이다. 양측은 어제 서울에서 '의료산업 공동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어느 한쪽이 첨복단지로 지정될 경우 공동 연구개발, 연구시설 및 생산장비 공동 활용 등을 통한 단지 활성화에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이 바로 그것이다. 성사 여부를 떠나 입지 선정과정에서 새로운 변수로 떠올랐다.
반면 충청권의 경우, 대전(대덕특구)와 충북(오송), 충남(아산)이 각자 따로 경합을 벌이고 있다. 충청권이 해야 할 일은 분명해진다. 선의의 경쟁을 펼치되 선언적 협력관계라도 가시화하면서 분야별 역량을 강화해 놓는 것이 상책이다. 지난날 행정도시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에서 보여줬던 상생의 정신을 상기하면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다. 충청 광역행정·경제권을 구축해 놓고도 이해관계 때문에 서로 등 돌린다면 자칫 '닭 쫓던 개 지붕쳐다 보는 처지'가 되기 십상이다. 행정도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등과의 연계성을 감안하면 충청권 어디로 결정되든 깨끗하게 승복하고 윈윈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게 현명하다.
더욱 걱정인 것은 정부의 심사과정이 과연 투명하고도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이뤄질 것인가에 대한 논란이다. 당초 지난해 12월로 예정됐던 입지선정 일정이 잇따라 지연되면서 정치적인 논리 개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그간 충청권은 자기부상열차와 로롯랜드 등 국책사업 공모에서 번번이 석연찮은 판정패를 당했다. 정치적 입김 논란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충청권 3개 시·도의 역할이 막중해졌다. 이번 영호남의 연대라인 급조도 충청권의 우위를 뒤집기 위한 전략에 가깝다. 이런 기류를 감지하고도 충청권이 공동전선을 펴지 못한다면 그 결과는 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