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9-11-09
  • 담당부서
  • 조회수86
세종시 수정… 건설업계 '대혼란'

내년 1월까지 정부청사 등 발주 중지
토지매입 업체 타격… '무책임 행정' 불만


장인수, jis4900@hanmail.net
등록일: 2009-11-08 오후 5:27:16


정부가 세종시 수정을 공식화하면서 행복도시의 신규 사업발주가 전면 보류되는 등 건설업계가 혼란의 후폭풍에 휩싸여 있다.



8일 건설관련 기관단체와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세종시 최종 수정안을 제시할 내년 1월까지 3개월 동안 신규공사 발주를 전면 중지키로 했다.

4분기 중 공사발주가 예정된 공사는 행복도시 정부청사(1-2) 건축공사(4천337억원)와 첫 마을 복합커뮤니티 건축공사(549억원), 1-2·1-4·1-5구역 복합커뮤니티 건축공사(930억원) 등이다.

정부청사 1단계 2구역 건립공사의 경우 공사비가 4천억원이 넘어 국내 1군 업체를 비롯해 컨소시엄을 희망하고 있는 지역 중견건설업체를 중심으로 관심이 집중돼 왔다.

하지만 정부 안에서 세종시에 정부부처 이전을 백지화하는 방안이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청사건립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정운찬 국무총리가 지난 5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밝힌 세종시 구상은 행정 부분이 전부 빠지거나 또는 극히 일부만 포함된 교육과학산업도시 형태로의 수정이 유력하다.

특히 산업 부문을 중점적으로 활성화해 자족 기능을 갖춘 뒤 이를 통한 인구 유입을 꾀한다는 생각이 강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는 자족기능 용지를 지금의 6∼7%에서 20%로 늘리고, 13% 포인트 정도 더 늘어난 면적의 대부분을 산업용지로 할당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당초 정부의 행복도시 정부청사 건축공사 등의 추진일정을 기준으로 공사참여 계획을 준비해온 건설업체들은 큰 혼란 속에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공동주택용지를 매입한 건설사들은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되지 않을 경우 인구 유입이 불충분해 아파트 분양에 상당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고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을 상대로 법정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A건설사 관계자는 '민간업체들은 원론적으로 국민을 위한 공기업도 아니고 이윤을 내기 위해 합리적으로 매입 작업을 진행했던 것'이라며 '사업이 안 되거나 방향이 대폭 수정돼 인구유입 효과가 감소한다면 토지를 매각한 자체가 사기분양이다'고 주장했다.

S건설사 관계자는 '청사 건립공사는 세종시에 관한 정부 방침이 확정된 뒤에나 발주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종잡을 수 없는 무책임 행정 때문에 건설업계가 혼란을 겪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 장인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