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9-12-18
- 담당부서
- 조회수84
'세종시와 동일한 인센티브를'
전국혁신도시협의회, 정운찬 국무총리에게 건의
김영철 기자 nomark@jbnews.com
NewsAD혁신도시를 광역경제권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세종시와 동일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17일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총리공관에서 열린 오찬간담회에서 혁신도시 조성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대한민국 녹색성장의 희망, 광역경제권의 성장거점인 전국 10개 혁신도시가 조성되고 있으나 대통령과 총리의 정상추진 의지와는 달리 이전기관은 무관심'이라고 밝혔다.
협의회는 '대통령께서 지난 11월4일과 28일 2차례에 걸쳐 '혁신도시는 세종시 문제와는 별개로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정상추진을 거듭 밝혔지만 이전기관들은 세종시 수정안 추이에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따라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정상추진하겠다는 백번의 약속 보다는 이전기관에 대한 정부의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뒤 '혁신도시에 대한 정부의 진정성 있는, 실효성이 높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특히 혁신도시 정책의 진정성 확보를 위한 최우선 대책으로 ▶부지매입비를 확보한 기관은 연내 반드시 부지매입 ▶대통령 주재 이전공공기관장 회의 조기 개최 ▶통·폐합기관, 미승인 기관의 연내 입지확정 및 지방이전 승인 등을 촉구했다.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이와함께 혁신도시 조기 활성화를 위한 대책으로 세종시와 동일한 인센티브 제공, 산학연 클러스터 용지를 국가에서 매입하고 임대산단 용지전환, 이전기관 임직원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대책, 자율형 공립고 혁신도시내 우선 설립 등을 주장했다.
이에앞서 충북도는 2차공기업 선진화 방안으로 중부신도시 이전대상 12개 기관중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3개 기관이 통·폐합 대상에 포함되었고 노동교육원이 폐지되면서 중부신도시의 기능이 대폭 저하될 것이라고 우려한뒤 충북에 통·폐합 이전기관이 입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충북도는 또 이날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혁신도시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전국 순회 토론회에서 중부신도시 개발 조성원가 인하와 기반시설비 1천857억원을 국가가 지원해 줄 것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회장 황희연 충북대교수)에 건의했다.
도는 중부신도시 개발방향을 충북에 집적되어 있는 IT·BT산업과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인 태양광산업이 융합 발전하는 테크노폴리스를 목표로, 자족도시와 저탄소녹색도시로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한뒤 입주기관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방안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