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10-02-04
- 담당부서
- 조회수88
중소업체 '빛좋은 개살구'
4대강 살리기 사업 공공공사 조기발주
2010년 02월 03일 (수) 남경훈 기자 namkh@ccilbo.com
실적없어 입찰참여 불가능… 금액따라 탄력운영 시급
4대강 사업과 공공공사 조기발주 등으로 지역 건설업체들의 일감이 모처럼만에 몰리고 있으나 상당수 건설업체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이는 대형공사 발주가 올해들어 잇따라도 지역 중소건설업체들의 경우 그동안 공사실적을 쌓지 못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조차 없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발주관서가 공사금액에 따라 입찰조건을 탄력적으로 운영, 지역 업체들의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최근 입찰공고를 번복하다가 결국 조달청에 의뢰한 청원군 상하수도사업소의 도급액 69억8300여만원의 가덕·남일·강내면 농어촌생활용수 공사의 경우 올해 처음 도입된 주계약자 공동도급 방식을 적용했으나 참여가능 업체가 극히 일부에 한정돼 불만이 제기됐다.
사업소는 당초 평가대상 업종을 토목공사업(종합) 50%, 상하수도설비업(전문) 50%로 공고했으나 전문업종의 경우 발주금액에 맞는 실적을 갖춘 업체가 지역에서 4~5개에 불과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공사를 기존처럼 종합업종으로 발주했을 때는 지역내 종합건설업체 70~80개사가 참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한국농어촌공사 충북지역본부가 4대강 사업 일환으로 추진하는 저수지 둑높임사업 가운데 도내 첫 사업지구인 청원 한계저수지의 지난 12월 입찰과정에서는 발주기관의 적극적인 태도로 지역업체 상당수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었다. 당초 농촌공사의 입찰 조건으로는 지역내 건설업체 3곳가량만 실적이 나올 정도였으나 건설협회 등의 지속적인 건의로 입찰참가자격을 최근 10년 이내에 농업토목 1건 공사실적이 20억원 이상으로 완화하면서 지역내 50~60여개사 참여가 가능했다.
이에 대해 건설업체 A사의 한 관계자는 '입찰조건에 따라 희비가 엇갈리는 것이 건설업 특성'이라며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 업체들의 입찰참여 기회를 높여주려는 발주관서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건설협회 충북도회 관계자는 '농촌공사의 둑높임 사업은 입찰자격제한이 대폭 완화되면서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가 대폭 가능해졌다는 면에서 좋은 사례가 된다'며 '올해까지 17개 저수지 둑높임사업이 예정돼 있어 지역건설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청원군 상하수도사업소의 입찰에 대해서는 '무리하게 주계약자공동도급 방식을 적용하면서 참여업체가 극소수에 불과하게 만들어 놓은 것은 이해가 안간다'며 '이를 조달로 의뢰할 경우 지역업체들에게 돌아올 수 있는 이익이 그만큼 줄어들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역행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