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10-06-11
  • 담당부서
  • 조회수85
<충청일보>여당의 참패로 끝난 '6·2 지방선거'의 후폭풍이 지역 건설업계에도 몰아치고 있다.

 4대강 관련 지역 건설업체들은 정부의 '4대강 사업 강행' 방침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장들의 협조가 없으면 사업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10일 충남·북도에 따르면 금강·한강 4대강 사업이 19개 공구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충남업체 6곳, 충북업체 15곳, 대전업체 2곳이 단독수주하거나 공동도급으로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충남·북 도지사 당선자들이 앞 다투어 4대강 사업 반대 입장을 밝혀 지역 건설업체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안희정 충남지사 당선자는 '4대강과 세종시는 (6·2지방선거를 통해) 이미 국민이 결론을 내렸다'며 '금강 본류에 대한 정비는 중단하고 지천과 소하천을 정비하는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혀 4대강 사업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했다.

 이시종 충북지사 당선자도 '보를 세워 운하를 하려는 것과 준설을 해서 배가 다니게 하는 것은 반대한다'며 '도지사가 위탁받아 자체적으로 실시하는 사업은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말했다.

 4대강 사업이 진행되는 한강·금강은 하천법상 '국가 하천'으로, 이를 대상으로 하는 공사는 중앙정부의 소관이지만 지자체가 협조하지 않으면 공사는 계획대로 진행되기 어렵다.

 지자체가 일부 예산을 부담하거나 인허가 권한을 가진 사업이 있기 때문이다.

 강바닥 준설로 발생한 모래를 쌓아 놓는 적치장에 대한 인허가와 하천 인근 농경지 개조에 대한 권한은 모두 지자체장에게 있다.

 지자체장이 식수원 보호를 위해 공사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재실시를 추진하면 공사 기일은 그만큼 늦어진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의 혜택을 받고 있는 업체들은 사업 진척이 느려지거나 공사를 진행하는 데 어려움이 커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모습이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충남·북 도지사 당선자들이 4대강 반대를 들고 나온 판이라 공사가 정상적으로 진행될까 우려된다'며 '만약에 지자체에서 인허가를 해주지 않으면, 공사를 추진하는데 애로사항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북도 관계자는 '이 당선자가 대형 준설, 보 설치 등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에 대해 원론적으로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충북지역 4대강 사업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능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