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10-09-16
- 담당부서
- 조회수85
'수주 가뭄'건설업체 목탄다
충북도내 1∼8월 447건… 전년 대비 25% 급감
공공부문 발주물량 줄어 중소업체 경영난 심화
충북도내 건설사들이 '수주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올 들어 지난 8개월 동안 10곳 중 3곳은 아예 단 한건의 일감을 따지 못했기 때문이다.
15일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도내 일반건설업체가 수주한 공사 건수는 모두 447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수주건수 598건에 비해 25.2%(151건) 감소한 수치다.도내 건설업체가 611개인 점을 고려하면 전체의 30%는 올 들어 단 한건의 공사도 맡지 못한 셈이다.
반면 수주액은 9959억9464만원으로 전년 동월(9005억9547만원)보다 10.4% 늘었다.
4대강과 관련된 대형공사 수주물량이 증가해 수주금액이 늘었지만 지역 중소건설업체 참여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빛 좋은 개살구'에 그치고 있다.
공사규모가 갈수록 대형화되고 있어 지역 중소업체의 일감이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이같은 수주 불균형이 점점 심화되면서 지역 내 일반건설업체 절반 이상이 손익분기점에 미달, 경영난이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더욱이 재정난을 겪고 있는 LH(한국주택토지공사)가 기존 공사계획을 축소하거나 조정하고 있어 업계의 상황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여기에 지역 공공공사에 수도권 대형업체까지 뛰어들어 저가출혈 등으로 생존마저 위협받고 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침체와 투자심리 저하로 민간부문 건설사업이 저조한데다 공공부문 물량감소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지역 건설업계는 대책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청원지역의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공공공사가 늘어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며 '민간부문이 활성화 되지 않는 한 무작정 손을 놓고 있을 수밖에 없어 답답하다'고 한숨을 쉬었다.
건설협회 충북도회 관계자는 '지역 업계의 열악한 환경을 감안해 충북도와 기초자치단체, 산하기관 등이 발주하는 대형공사의 경우 계획 및 설계 단계에서부터 지역제한 및 지역의무 공동도급 대상으로 분할 발주하는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