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10-12-20
- 담당부서
- 조회수93
잦은 입찰제 변경 '건설사 속앓이'
공사용자재 직접구매·공동구매 확대 등 '손질'
극심한 수주난에 '입찰기회 놓칠까' 안절부절
[충청일보]충북도내 건설업체들이 부동산 경기 침체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가운데 입찰제도 마저 수시로 변경되면서 몸살을 앓고 있다.
더욱이 올 들어 건설업 등록기준이 대폭 강화돼 공사수주를 따내지 못한 업체들은 극심한 돈가뭄에 엄격해진 자본금 예치 기준을 맞춰야 하는 등 진퇴양난에 빠졌다.
19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공사용 자재 직접구매(분리발주)와 주계약자 공동도급제 확대 적용과 함께 순수내역입찰, 물량내역수정입찰 등이 잇따라 도입되는 등 입찰환경이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대·중소기업 간 상생과 종전 입찰제도에서 드러난 문제점 등을 보완해 종소건설업체들의 공공공사 입찰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정부가 입찰제도를 뜯어고치고 있는 것.
이런 가운데 올해 도내 건설업체가 수주한 공사 건수는 11월말 기준 543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94건)에 비해 78.2%에 머물고 있다.
도내 604개 건설업체 중 210개사(35%)가 올해 공사를 단 한건도 수주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처럼 수주난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들은 변경된 입찰내용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고 입찰에 참여할 경우 자칫 수주기회를 날릴 수 있어 부담감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정부가 부실 건설업체 퇴출을 위해 자본금 예치 기준을 기존 30일에서 60일로 대폭 확대됨에 따라 현금조달에 애를 먹고 있는 건설사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더욱이 순수내역입찰이나 물량내역수정입찰의 경우 입찰을 준비할 때부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부분을 고스란히 건설사가 떠안아야 하는 것도 부담요인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잦은 입찰제도 변화에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
청원지역의 한 건설사는 '건설경기 침체로 가뜩이나 수주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속앓이는 하고 있는데 입찰제도 까지 수시로 변경돼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기존 입찰제도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로잡겠다는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단기기간에 너무 많은 변화를 주다보니 건설사들이 우왕좌왕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능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