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11-09-22
- 담당부서
- 조회수97
'최저가낙찰제, 지역건설 위협'
건협 충북도회·도의회 건설소방위 간담회
대형공사 분할발주·혁신도시 참여 등 건의
[충청일보] '건설경기 침체로 가뜩이나 어려운데 최저가낙찰제를 확대 시행한다는 것은 굶어죽으란 것입니다. 중소 건설사들은 모두 문 닫으란 말입니까?.'
정부가 예산절감을 위해 최저가낙찰제를 내년부터 100억 원 이상 중·소형 공사까지 확대키로 한데 따른 중소 건설업체들의 하소연이다.
공공발주 물량의 감소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건설업계가 일감 부족으로 경영난에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최저가낙찰제가 확대되면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도산 등 막대한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도내 일반건설업체가 올 들어 8월까지 공사 수주액은 8636억 원으로 전년 동월(9914억 원)보다 12.8% 줄었다.
공사 물량이 급감하면서 경영난으로 인한 업체수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체 수는 올 580곳으로 지난해보다 24곳이 감소했다.
이 처럼 건설발주액 급감과 공사물량 부족 등이 장기화돼 문을 닫는 업체가 늘면서 도내 건설업체들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여기에 내년부터 최저가낙찰제가 시행되면 중소건설업체들의 존립기반이 상실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건설협회 충북도회(회장 김경배) 임원진은 충북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와 21일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갖고 최저가낙찰제 확대에 따른 지역업체 경영악화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협조를 요청했다.
이날 주택경기가 장기 불황에 빠진 상태에서 최저가 낙찰제가 확대되면 과열경쟁과 출혈수주로 건설산업기반이 붕괴한다며 반대 입장을 확실히 밝히고 지역업체 살리기에 적극 나서 달라고 요구했다.
김경배 회장은 간담회에서 △공공기관 대형공사 분할 발주 △신규 공사물량 확대를 통한 업체 수주기회 제고 △수도권 이주기업의 건설공사 지역업체 참여 확대 △지자체 발주공사의 조달청 발주의뢰 지양 등을 건의했다.
충북도회는 혁신도시 9개 이전기관 건설공사에 지역업체가 공동도급으로 49%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대해 건설소방위원회 권기수 위원장은 “지역건설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건설업계의 건의사항이 반영돼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능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