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14-08-13
  • 담당부서
  • 조회수109
건설업계 '고사위기' 자치단체 나몰라라

경영난으로 인한 도산 다수
올해 신규등록 업체 18곳 불과
타지자체 불황 타개 위해 합심
'제도적 활성화 방안 마련 필요'


충북지역 건설업계가 경영난에 도산하거나 법원에 화의 신청이 늘고 있지만 이를 타개할 대책마저 없어 업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2일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와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에 따르면 최근들어 토목분야에 신규로 신고된 업체가 전무하고, 주택건설분야에 신규 업체로 등록되는 사례도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3년간 일반 및 전문건설업체의 폐업건수는 500여건에 육박하고 있다. 2012년 199건의 면허가 취소됐고, 2013년에는 179건, 올 8월 현재 68건의 일반·전문업체가 문을 닫았다.

이들 업체 가운데 불법하도급 처분으로 폐업된 업체나 자본금 잠식에 의한 폐업도 있지만 대부분은 공사 수주를 하지 못해 경영난으로 문을 닫게 된 경우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충북에 400개의 업체가 있다면 한 해 발주되는 공사도 400개 정도밖에 안 된다'며 '이 가운데 견실한 업체가 1~2개를 입찰을 받고 나면 어떤 업체는 1년을 일 없이 그냥 지나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다 보니 실적이 없어 문을 닫아야 하는 업체들은 해마다 늘고 신규등록 업체는 줄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건설업은 2012년 53개 업체가 폐업했고, 2013년에는 34개 업체가, 올 8월 현재 6개 업체가 문을 닫았다.

신규등록업체는 2012년 38개 업체에서 2013년 23개 업체, 올 8월 현재 18개 업체가 전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충북도 등 도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업체 보호 의지나 능력은 부족해 보인다.

인근 대전·세종·충남지역의 경우 하도급 전담부서를 둘 정도로 지역 건설업체의 불황 타개를 위해 합심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은 그렇치 못하다.

이선우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장은 '충북지역 업체들의 원도급률이 크게 떨어져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건설은 생계형 일자리가 많은 분야로 지자체가 건설업계를 방치하면 그 파장은 결국 생계형 일자리를 찾는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행정 당국에서 제도적 밑받침 등을 마련해야 한다'며 '타 지역의 건설업체들이 충북에서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고 인·허가를 득한다는 것도 충북업체들에게는 가슴 아픈 일'이라고 강조했다.

/ 엄재천기자 jc002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