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19-03-22
- 담당부서
- 조회수130
지난해 수주, 전년比 33.4% ↓
전국 일자리 11만3천개 줄어
지역업체 의무공동도급 촉구
[충북일보] 충북 건설업이 위태롭다.
충북 지역 업체의 건설수주가 감소한데다 전국적으로는 건설업 일자리 수가 대폭 감소했다.
정부의 SOC사업에 지역업체 참여·소규모 사업 활성화와 추경예산 증액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2018년 충북의 건설수주 합계액은 3조9천410억 원으로 2017년 5조9천220억 원 보다 33.4% 감소했다.
공종 별로 살펴보면 건축은 2조8천250억 원으로 전년도 4조4천510억 원 보다 36.5% 감소했다. 토목은 1조1천160억 원으로 전년도 1조4천700억 원 보다 24.0% 줄었다.
발주자 별로도 모든 부문에서 감소했다.
공공은 1조4천630억 원에서 1조1천650억 원으로 20.3%, 민간은 4조4천570억 원에서 2조7천770억 원으로 37.6% 각각 감소했다. 2017년 20억 원이었던 민자 발주액은 전무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건설수주액은 7천240억 원으로 전년동기 1조3천490억 원 보다 46.3% 대폭 감소했다.
지난해 건설경기에 찬바람이 몰아치면서 일자리마저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통계청의 '2018년 3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의하면 전국 건설업 일자리는 전년동기보다 11만3천개 감소했다.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천810만4천 개로 전년동기보다 21만3천 개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건설업이 '최악의 불경기'를 맞았음을 실감할 수 있다.
산업대분류별 일자리(21개)에서 건설업이 6.1%의 가장 큰 비율로 감소했고, 사업·임대가 3.6%(3만6천 개), 제조업이 1.9%(1만9천 개) 각각 감소하며 뒤를 이었다.
건설업 일자리는 지난해 3분기 174만1천 개로 전체 일자리의 9.6%를 차지했다.
2017년에는 185만4천 개로 10.4%를 차지한 바 있다. 1년새 일자리 수는 11만3천 개가 줄었고, 전체 일자리서 차지하는 비율은 0.8%p 감소했다.
눈여겨 볼 부분은 건설업의 '지속일자리 비중'이 타 산업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점이다.
산업대분류별 일자리의 평균 지속일자리 비중은 67.7%다. 건설업은 이보다 22.8%p 낮은 44.9%(78만2천 개)로 최저비율이다. 또 소멸한 일자리는 33.3%(58만 개), 신규 일자리는 26.9%(47만 개)로 소멸한 일자리가 6.4%p 많다.
결국 건설업은 사라진 일자리만큼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나지 않았다는 의미로, 산업이 존폐 위기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정부는 올해 국비 8조6천억 원을 투입해 192개 생활SOC 사업을 진행한다. 1분기 내 40개 사업(1조5천억 원)을 집행키로 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도내에서 일자리 창출·건설경기 부양 효과를 볼만한 사업은 없었다.
충북 건설업계 관계자는 '정부사업은 대형 발주로만 이뤄져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없었다. 입찰조차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이대로라면 지역 건설사는 고사할 수밖에 없다'며 '생활밀착·노후인프라개선 방식의 사업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하천 부유물 제거·준설, 노후수도관 교체 등을 통한 '온 국민을 위한 복지'를 지향해야 한다'며 '정부는 예타면제 사업에 지역의무공동도급을 적용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과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추경에 지역업체도 참여 가능한 사업을 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출처 : 충북일보 - 성홍규 기자 (2019.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