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19-08-14
  • 담당부서
  • 조회수138
SOC 감축에 '분양가 상한제' 영향도 우려
서울 공사 감소 따른 '지방 호재' 불투명
충북 건설수주액 연간 30% 이상 하락세
'대형업체는 해외 활로 개척 나설듯… 중소업체 위한 소규모 공공건설 늘려야'

정부의 SOC사업 감축으로 신음하는 충북 도내 건설업계가 또다른 위기를 맞았다.

정부가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예고하면서 전국적인 아파트 신축 공사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아파트 신축 공사는 토건, 토목, 건축, 산업설비, 조경 등 각 건설업체들이 골고루 참여한다. 충북을 비롯한 전국의 건설업체들의 사정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얘기다.

충북 도내 건설업체들은 이미 보릿고개를 겪고 있다. 건설수주액이 큰 폭으로 감소중이다.

건설경기동향조사를 보면 지난 2분기 충북의 건설수주액은 8천616억 원이다. 발주자(공공, 민간, 국내외국기관, 민자)별로는 공공 2천297억 원, 민간 6천98억 원이다.

지난 2018년 2분기는 1조4천724억 원(공공 5천865억 원, 민간 8천859억 원), 2017년 2분기는 2조8천801억 원(공공 5천564억 원, 민간 2조3천233억 원)이다.

2018년 2분기는 전년도보다 48.8%, 올해 2분기는 전년도보다 41.4% 각각 감소했다. 올해 2분기는 지난 2017년보다 73.5% 감소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지난 2017년 총 수주액은 6조952억 원(공공 1조6천305억 원, 민간 4조4천630억 원), 2018년은 4조1천185억 원(공공 1조1천620억 원, 민간 2조9천526억 원)으로 32.4% 감소했다.

올해 1~2분기 수주액은 1조5천132억 원이다. 연말까지 '이렇다 할' 호재가 없는 이상 지난해보다 저조한 실적을 낼 것이 확실시된다.

특히 충북의 발주자별 수주액 동향에서 두드러지는 문제는 '민간공사 수주액 감소세'다. 민간공사에는 아파트 건설도 물론 포함된다.

충북 도내 민간공사 수주액은 2017년 4조4천630억 원에서 2018년 2조9천526억 원으로 33.8% 감소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민간공사 수주액은 104조4천억 원에서 103조1천억 원으로 1.2% 감소했다. 충북 도내 민간공사 감소율이 전국 평균보다 30배 가까이 크다.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정책으로 서울 지역 공사는 즉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서울 지역 공사 감소가 충북 등 지방 공사 확대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충북 보다 입지 여건이 충분히 잘 갖춰진,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는 수도권으로 건설 공사가 확대될 수는 있겠지만 이미 침체될 대로 침체된 충북은 '관심밖'에 놓일 공산이 크다.

서울의 재건축·재개발 사업은 발이 묶이겠지만 건설사업을 통해 '이윤'을 내야만 하는 업체 입장에서 충북이라는 지역을 택할 이유가 하등 없는 실정이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31곳으로 예상되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의 재건축·재개발 위축은 누구나 예상가능하다'며 '충북, 서울을 막론하고 건설사의 실적을 견인한 건 주택 사업'이라고 말했다.

이어 '충북은 '안 그래도' 주택 사업의 인기가 좋지 않은 지역'이라며 '대규모 건설사는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방향으로 활로를 모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문제가 되는 것은 중소 건설사'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간 부동산 건설 시장을 위축시킨 것은 결국 정부가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정부가 내 놓을 수 있는 해법은 소규모 공공 건설의 확대로 지방 중소건설사를 부양하는 것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 출처 : 충북일보 - 성홍규 기자(2019.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