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과 호남지역을 잇는 ‘강호축’ 철도 사업이 탄력적으로 추진될 전망이다.
정치권과 지자체장들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판 뉴딜의 정책적 지원도 예고돼 있어서다.
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충북선 철도 고속화를 위한 국토교통부의 기본계획 수립 용역이 이르면 올 상반기 중 완료될 전망이다.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은 강호축 개발의 핵심으로 지난해 1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다.
저속구간인 충북선 철도를 개량해 호남과 충청, 강원을 연결하는 핵심 노선이다.
충북도 충북선이 건설되면 현재 5시간30분에서 2시간 가량 단축된다며, 오송 연결선을 충북선 고속화 사업에 포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천안∼청주국제공항 복선전철과 중부내륙철도, 대전∼옥천 광역철도 연장 사업 등도 강호축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강호축 개발과 관련한 논의는 지난 2018년부터 본격화 됐다. 2018년 8월 강원ㆍ충청ㆍ호남권 8개 시ㆍ도지사들은 공동협약을 통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한 바 있다.
최근 정치권에서도 이같은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연말 개최된 더불어민주당 K-뉴딜위원회 지역균형분과 간담회에서 허영 의원은 강호축 노선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필요성을 강조했다.
허영 의원은 “강호축 철도망이 연결되면 오는 2027년 개통 예정인 동서고속철도를 통해 복잡한 수도권 철도망을 거치지 않고도 TSR(시베리아횡단열차)과 TCR(중국횡단철도)등 대륙철도와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내륙종단철도망이 완성된다”며 “이를 통해 물류혁명과 함께 관광수요를 통한 지역균형발전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판 뉴딜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올해, 이들 사업에 대한 논의가 궤도에 올라선다면 추진에 힘을 받을 것이란 복안이다.
실제 정부는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에 올해 국비 154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오는 2027년까지 이 구간의 고속철 전환이 완료되면 목포∼오송∼제천∼원주∼강릉으로 이어지는 대각선 국토 관통 철도망 구상을 본격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건설업계도 강호축 철도 사업에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공공발주 공사가 수 년간 가뭄을 겪으면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어려움이 커졌지만, 올해부터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선거 등으로 인한 발주 물량의 증가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철도건설사업이 큰 몫을 차지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해 화물 운송체계를 저탄소 운송수단인 철도와 해운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대형건설사 공공영업부 관계자는 “철도 건설 사업의 경우 관련 시공 역량과 실적을 갖춘 건설사들이 한정적이고, 노하우도 다수 축적돼 있어 선호하는 사업으로 꼽힌다”면서 “강호축을 포함해 올해 발표될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업계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e대한경제 권성중기자 (2021.01.05.)